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analyzing
- ECS
- data
- AWS
- Method
- Crawling
- Scrum
- python
- angular
- adaptive life cycle
- algorithm
- 크롤링
- keras
- data analyze
- tensorflow
- webcrawling
- instance
- visualizing
- 애자일
- matplotlib
- Agile
- 프로젝트
- DANAWA
- 자바스크립트
- opencv
- TypeScript
- 다나와
- pandas
- Project
- javascript
Archives
- Today
- Total
LiJell's 성장기
인터넷 기초 I 본문
반응형
1.1. 웹사이트 접속 방법
- IP 주소
- 도메인 네임
일반적인 이용자는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할 것이다.
1.1.1. IP주소
- Internet Protocol Address
-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로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하기 위한 컴퓨터가 갖고 있는 고유한 번호
- IPv4 기존에 사용하던 체계, 하지만 IP주소가 모자라서 IPv6가 고안됨
- IPv4는 192.234.23.12 이러한 방식으로 각 2^8개씩 4개로 구성되어 0
255.0255.0255.0255 방식이다 - IPv6는 영어또한 포함되어 2의 128제곱으로 이루어졌다.
- IPv4는 192.234.23.12 이러한 방식으로 각 2^8개씩 4개로 구성되어 0
- 유동 IP를 통해서 IP 고갈에 대응하기도 한다
- 장기간 IP를 쓰지 않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그 IP를 양도했다가 다시 사용하게 되면 다른 IP를 할당받는 방식이다.
- 사용되지 않는 IP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, IP가 바뀌었는지 모르고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조심해야한다 (Dynamic DNS: 일정한 시간을 두고 네임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IP주소를 계속해서 알려주는 방법을 사용해 해결 가능)
- IPv4 기존에 사용하던 체계, 하지만 IP주소가 모자라서 IPv6가 고안됨
-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로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하기 위한 컴퓨터가 갖고 있는 고유한 번호
- IP는 공인과 사설로 나뉜다
- 사설 IP
- 접속을 시도해보면 접속이 되지 않는다, 공유기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해보자
- 공유기는 하나의 통신사의 회선에 연결한 공유기를 통해 각각의 컴퓨터에 인터넷을 연결한다.
- 무선으로 하는것이 WIFI
- 통신사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
-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 연결이 되어 있는 컴퓨터틀의 IP주소는 공유기의 IP 주소다
- 접속을 시도해보면 접속이 되지 않는다, 공유기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해보자
- 즉, 공유기의 IP는 공인 IP, 각 컴퓨터의 IP는 사설 IP이다.
- 사설 IP
- 기억하기 어렵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
1.1.2. 도메인 네임
- 사용자가 도메인 네임을 주소창에 입력하면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로 이동
- 하지만 컴퓨터가 도메인 주소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메인을 통해서 서버레 접속 불가
- 오직 IP 주소를 통해서만 접속 가능
- 따라서 DNS (Domain Name System)을 이용해서 접속한다
- DNS에 접속하여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출력하고
- 컴퓨터는 받은 IP주소로 가고자 하는 사이트에 접속한다
- 도메인은 사람이 보기 편한 요소일 뿐
1.1.3. 절대경로 / 상대경로
- 메인 주소를 IP로 바꿔도 각 페이지마다 접속할 때 localhost로 접속하게된다
- 각각 찾아가서 IP로 바꿔줘도 되지만 절대경로와 상대경로의 개념을 사용하면 개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한다.
- 좋은 예시
- 옆집을 표현할 때, 나는 200호일 때 옆집은 201호 또는 200호 사는 사람이 말하는 옆집이 될 수 있다
- 직접 명시해주는 방법이 절대경로 - 201호
- 다른것을 통해 명시해주는 방법이 상대경로다 - 200호 사는 사람이 말하는 옆집
- 따라서 나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땐 상대경로를
- 자신이 위치와는 상관없이 옆집에 대해 명시 하고싶다면 절대경로를 이용하여 이야기하면 된다.
- 옆집을 표현할 때, 나는 200호일 때 옆집은 201호 또는 200호 사는 사람이 말하는 옆집이 될 수 있다
- 경로 상에서 / 만 붙어있다면 최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한다
- 최상위 디렉토리란 localhost를 이야기하거나
- 내가 미리 지정해둔 시작 디렉토리가 될 수 있다
- 즉, /index.php 라고 쓰면 localhost/index.php를 의미하는 것이다.
-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부모 디렉토리로 가는 방법은
- ../index.php
-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는
- ./index.php가 된다
- 이러한 방식은 명령 prompt를 사용하거나 여러가지 상황에서 파일을 불러오고 읽고 저장할 때 대부분 비슷하게 작동한다
반응형
'Interne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터넷 기초 III (0) | 2022.03.21 |
---|---|
인터넷 기초 II (0) | 2022.03.18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