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Crawling
- 프로젝트
- algorithm
- visualizing
- 크롤링
- angular
- adaptive life cycle
- matplotlib
- data
- data analyze
- pandas
- instance
- TypeScript
- AWS
- opencv
- 자바스크립트
- python
- ECS
- webcrawling
- 애자일
- DANAWA
- analyzing
- 다나와
- keras
- javascript
- Agile
- Scrum
- Project
- Method
- tensorflow
Archives
- Today
- Total
LiJell's 성장기
인터넷 기초 II 본문
반응형
2.1.인터넷의 동작 방법
- 인터넷을 통해 독립적인 컴퓨터틀이 연결되었고 컴퓨터들은 서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기 시작했다.
- 요청하는 컴퓨터를 클라이언트
- 제공하는 컴퓨터를 서버라고 한다
- 어떤 컴퓨터가 서버이고 클라이언트 인지는 상대적인 개념이 된다
-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
- 일반적으로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컴퓨터와 서버측 컴퓨터가 있다면 웹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가 됨
- 클라이언트가 주소창에 https://lime-jelly.tistory.com/ 를 입력하였다.
- 서버에게 https://lime-jelly.tistory.com/ 라는 주소가 넘겨지고
- https://lime-jelly.tistory.com/ 에 여러 서버가 있을 수 있다
- DB, 채팅, 웹, 게임 등등
- 이때 누가 응답할지 결정하고 누굴 연결시킬까 하는 문제를 설명하는 개념이 포트다 Port
2.2. Port
- 0부터 65535번 까지의 구멍 또는 문이 있는데 이것을 포트라고 한다.
-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통하는 문이 있는데 각 문은 각자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
- 80번 포트를 들어가면 웹서버가 설치되어 있다
- 집주소로 굳이 비유하면 IP 주소는 '아파트 동' 까지라면 포트는 '호수'를 의미한다고 한다.
2.2.1. Port가 필요한 이유
- 각 프로그램 중 인터넷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기 때문
- 80 번 포트에 웹 서버를 연결시켜준다
- = 웹 서버가 80번 포트를 바라보게 한다
- = 80번 포트를 리스닝하게 한다
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할 때 https://lime-jelly.tistory.com/:80 이라고 입력을 하면
- 서버 컴퓨터는 lime-jelly.tistory.com에 해당하는 컴퓨터를 찾은 뒤 80번 포트와 연결하고 싶다고 말하는 것이다. 그럼 이때 80번 포트에서 리스닝하고 있는 웹서버가 응답한다.
- 80번이라고 적는것이 번거롭게 느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포트를 생략할 수 있다.
2.3. http
- 그럼 어떻게 웹 서버로 연결 시켜주는걸까
- 주소에 http라는 것이 있다
- http를 이용해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
- = 자동으로 80번 포트로 연결 시켜준다
- = http로 접속하면 80번 포트를 쓰자는 것을 약속
- http =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( 통신규약)
반응형
'Interne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터넷 기초 III (0) | 2022.03.21 |
---|---|
인터넷 기초 I (0) | 2022.03.17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