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algorithm
- Method
- AWS
- Scrum
- javascript
- Agile
- webcrawling
- 자바스크립트
- adaptive life cycle
- DANAWA
- tensorflow
- 애자일
- 다나와
- Crawling
- Project
- angular
- ECS
- 프로젝트
- opencv
- python
- instance
- data analyze
- pandas
- data
- keras
- visualizing
- analyzing
- 크롤링
- matplotlib
- TypeScript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Queue (1)
LiJell's 성장기
_01.algorithm_stack_queue
알고리즘 시간 복잡도 O(1) – 상수 시간 : 문제를 해결하는데 오직 한 단계만 처리함. O(log n) – 로그 시간 :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단계들이 연산마다 특정 요인에 의해 줄어듬. O(n) – 직선적 시간 :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의 수와 입력값 n이 1:1 관계를 가짐. O(n log n) :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의 수가 N*(log2N) 번만큼의 수행시간을 가진다. (선형로그형) O(n^2) – 2차 시간 :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의 수는 입력값 n의 제곱. O(C^n) – 지수 시간 :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의 수는 주어진 상수값 C 의 n 제곱. 1. 스택(stack) 자료구조 먼저 들어 온 데이터가 나중에 나가는 형식(선입후출)의 자료구조 입구와 출구가 동일한 형태..
Algorithm
2022. 1. 5. 22:4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