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프로젝트
- keras
- instance
- Scrum
- matplotlib
- data
- 애자일
- tensorflow
- 다나와
- TypeScript
- AWS
- webcrawling
- algorithm
- ECS
- Crawling
- opencv
- python
- 자바스크립트
- Project
- visualizing
- Method
- analyzing
- javascript
- 크롤링
- Agile
- angular
- DANAWA
- adaptive life cycle
- pandas
- data analyze
Archives
- Today
- Total
LiJell's 성장기
1. 프로젝트의 이해 본문
반응형
- 프로젝트 업무의 가치
- 프로젝트의 개념
- 프로젝트(Project) vs. 운영(Operation)
1.1. 프로젝트 업무의 가치
- 인류의 역사는 프로젝트의 역사
- 조직의 역사도 프로젝트의 역사
- 비전
- 전략적 목표
- 프로젝트
-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, 도구, 인적 자원
- 프로젝트 관리자(PM)는 조직의 핵심 인력
- 프로젝트화하고
-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제안과 실행
-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PMIS
- 많은 조직들이 PMO를 운영중
1.2. 프로젝트란?
- 고유한 목표를 산출하기 위해 수행하는 한시적인 노력
1.2.1. 프로젝트 업무
- 목표의 달성(Achieving the goal)
- 고유성(Unique)
- 고유한 목표 -> 산출물(Deliverable)
- 한시성(Temporary)
- 시작과 끝 -> 분명한 마감일 (Deadline)
- 불확실성(Uncertain)
- 단계(process) 제시
- 점진적 상세화 (Progressive Elaboration)
- 사업 운영의 중대한 변경은 집중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필요로 함
1.2.2. 일반 업무(Operation) = 운영
- 사업의 유지(sustaining the business)
- 프로젝트 결과의 활용
- 일반 업무의 특징
- 상시성(On-going)
- 반복성(Repetitive)
- 안정성
- 사업의 유지
- 프로젝트 결과를 활용함
1.2.3. 공통점
- 사람이 수행, 자원의 제약을 받음, 계획-실행-통제를 거침
1.3. 프로젝트의 특징
- Projects Drive Change : 변화가 없다면 운영
- Business Value Creation: 가치 창출, 가치가 창출이 없다면 프로젝트가 아님
- Tangible 유형
- Intangible 무형
1.3.1. Unique
- 산출물(목표)
- 인도물= 결과물= 성과물 = 성과품
- 주 산출물
- 제품
- 서비스
- 개선 - 애자일에서 매우 중요
- 문서
1.3.2. Temporary
- 한시성
- 시작과 끝이 존재
- 프로젝트는 일의 시간적인 맺고 끊음을 분명히 하는 업무이다.
- 프로젝트(Project)로 목표를 달성하면 -> 목표의 유지를 운영(Operation)으로 한다.
1.3.3. Uncertain
- progressive Elaboration
- 점진적 상세화 = 점진적 구체화
- 불확실성 완화를 위한 Dedicated Planning은 Progressive Elaboration을 통해서 가능해진다
- 표준 프로세스 = 반복(Iteration)
- 분석 >> 설계 >> 개발 >> 테스트 >> 인도(Delivery, Release, Cut Over, Launch)
- 프로젝트는 점차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정확한 산정치가 제시됨에 따라 계획의 정확도를 높여 나가는 반복적인 프로세스로 진행된다
- 프로젝트의 범위는 프로젝트 전 단계에 걸쳐 점진적으로 상세화
- 반복에 대한 개념 없음
- 상위 단계 (Phase) >> 하위 단계 (Stage) >> 프로세스(Process)
- Agile 은 Adapt to Change 하는것이다
- 짧은 주기를 여러번 설정 (Increment)
- 고객에게 여러번 반복적으로 제공하며 feedback을 받으며 진행
- 증분(Increment) >> 반복(Iteration) >> 에픽(Epic) >> 기능(Feature) >> 사용자 스토리(User Story) >> 작업 (Task) = Issue
- 증분의 개념을 잘 설정해야함.
- 증분 내에서 리스트를 고려한 반복이라는 프로세스를 잘 제시해야함
- 1.3.3.1 Water fall : 예측형 프로젝트의 점진적 상세화 ( IT와 알맞지 않음)
1.3.4. 프로젝트를 통해 산출할 수 있는 고유한 산출물
- 분석, 설계, 개발, 테스트
- 제안은 제안이고 실전은 실전
- 프로젝트의 복잡성이 있다고 생각되면 애자일 방식으로 적극적으로 전환해야한다
1.4. 프로젝트 vs. 운영
- 프로젝트와 운영의 상호 선순환을 통해서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한다
1.5. Key Point
- 조직은 경영 전략을 프로젝트화 (Make it project)하고, 프로젝트 중심으로 성장하고 발전한다
- 조직이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관리자, PM, 의 전문적인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
- 프로젝트의 특징
- Unique
- Temporary
- Uncertain >> Progressive Elaboration
- Waterfall
- Agile
- Projects Drive Change
- Projects Enable Business Value Creation
- 프로젝트는 한시적이고 고유합니다. 반면에 운영은 상시적이고 반복적입니다
- 프로젝트와 운영의 상호 선순환을 통해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합니다
반응형
'IT 운영 > Agile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적응형 라이프 사이클 (Adaptive Life Cycle) 1편 (0) | 2022.02.12 |
---|---|
5.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의 이해 (0) | 2022.02.11 |
4. 애자일 마음가짐 (Agile Mindset) (0) | 2022.02.10 |
3. 애자일 프로젝트 개요 (0) | 2022.02.09 |
2.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(0) | 2022.02.07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