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TypeScript
- Agile
- keras
- angular
- webcrawling
- Scrum
- analyzing
- instance
- matplotlib
- opencv
- 크롤링
- AWS
- javascript
- data analyze
- Crawling
- pandas
- visualizing
- tensorflow
- Method
- algorithm
- python
- 애자일
- data
- DANAWA
- ECS
- 프로젝트
- adaptive life cycle
- 자바스크립트
- Project
- 다나와
Archives
- Today
- Total
LiJell's 성장기
_05.algorithm_sort 본문
반응형
정렬 알고리즘
- 정렬(sorting)이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
- 일반적으로 문제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정렬 알고리즘이 공식처럼 사용
1. 선택 정렬
-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 있는 데이터와 바꾸는 것을 반복
- 탐색(선형 탐색) 범위는 반복할 때 마다 작아진다
array = [7,5,9,0,3,1,6,2,4,8]
for i in range(len(array)):
min_index = i # 갖아 작은 원소의 인덱스
for j in range(i+1, len(array)):
if array[min_index] > array[j]:
min_index = j
array[i], array[min_index] = array[min_index], array[i] # swap
print(array)
# [0,1,2,3,4,5,6,7,8,9]
2. 삽입 정렬
-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를 하나씩 골라 적절한 위치에 삽입
- 선택 정렬에 비해 구현 난이도가 높지만, 일반적으로 더 효율적으로 동작
array = [7,5,9,0,3,1,6,2,4,8]
for i in range(1, len(array)): # 두번째 원소인 1부터
for j in range(i, 0, -1): # 인덱스 i부터 1까지 1씩 감소하며 반복
if array[j] < array[j-1]: # 한 칸씩 왼쪽으로 이동
array[j], array[j-1] = array[j-1], array[j]
else: # 자기보다 작은 데이터를 만나면 그 위치에서 멈춤
break
print(array)
# [0,1,2,3,4,5,6,7,8,9]
3. 퀵 정렬
-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그 기준보다 큰 데이터와 작은 데이터의 위치를 바꾸는 방법
- 일반적인 상황에서 가장 많이 사용
- 병합 정렬과 더불어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정렬 라이브러리의 근간이 되는 알고리즘
- 가장 기본적인 퀵 정렬은 첫번째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(Pivot)로 설정
- Pivot, 첫번째 데이터를 기준으로 데이터 왼쪽부터 Pivot보다 큰 데이터를 선택하고 데이터 오른쪽부터 Pivot보다 작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swap한다. 반복.
- 왼쪽에서부터 오는데이터와 오른쪽에서부터 오는 데이터가 위치가 엇갈리는 경우 pivot과 작은 데이터의 위치를 변경
- 위 상황에서 pivot을 기준으로 왼쪽은 작은값 오른쪽은 큰값을 가지게 되며
- 피벗을 기준으로 데이터 묶음을 나누는 작업을 분할(DIvide)라고 함
- 피벗을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으로 나뉘어 각각 정렬을 수행
array = [5,7,9,0,3,1,6,2,4,8]
def quick_sort(array, start, end):
if start >= end: # 원소가 1개인 경우 종료
return
pivot = start # 피벗은 첫 번째 원소
left = start + 1
right = end
while(left <= right):
# 피벗보다 큰 데이터를 찾을 때까지 반복
while(left <= end and array[left] <= array[pivot]):
left += 1
# 피벗보다 작은 데이터를 찾을 때까지 반복
while(right > start and array[right] >= array[pivot]):
right -= 1
if (left > right): # 엇갈렸다면 작은 데이터와 피벗을 교체
array[right], array[pivot] = array[pivot], array[right]
else: # 엇갈리지 않았다면 작은 데이터와 큰 데이터를 교체
array[left], array[right] = array[right], array[left]
# 분할 이후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에서 각각 정렬 수행
quick_sort(array, start, right -1)
quick_sort(array, right +1, end)
quick_sort(array, 0, len(array)-1)
print(array)
# [0,1,2,3,4,5,6,7,8,9]
퀵 정렬 파이썬의 장점을 살린 방식
array = [5,7,9,0,3,1,6,2,4,8]
def quick_sort(array):
#리스트가 하나 이하의 원소만을 담고 있다면 종료
if len(array) <= 1:
return array
pivot = array[0] # 피벗은 첫번째 원소
tail = array[1:] # 피벗을 제외한 리스트
left_side = [x for x in tail if x <= pivot] # 분할된 왼쪽 부분
right_side = [x for x in tail if x > pivot] # 분할된 오른쪽 부분
# 분할 이후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에서 각각 정렬 수행하고, 전체 리스트 반환
return quick_sort(left_side) + [pivot] + quick_sort(right_side)
print(quick_sort(array))
# [0,1,2,3,4,5,6,7,8,9]
4. 계수 정렬
- 특정 조건일 때만 사용 가능하나, 매우 빠름
- 데이터의 크기 범위가 제한되어 정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을 때 사용가능
- 가장 작은 데이터부터 가장 큰 데이터까지의 범위가 모두 담길 수 있도록 리스트를 생성
- 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며 데이터의 값과 동일한 인덱스의 데이터를 1씩 증가시킨다
- 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며 데이터의 값과 동일한 인덱스의 데이터를 1씩 증가시킨다
- 반복
- 결과적으로 최종 리스트에는 각 데이터가 몇 번씩 등장했는지 그 횟수가 기록됨
- 결과를 확인할 때는 리스트의 첫 번째 데이터부터 하나씩 그 값만큼 반복하여 인덱스를 출력하면됨
# 모든 원소의 값이 0보다 크거나 같다고 가정
array = [7,5,9,0,3,1,6,2,9,1,4,8,0,5,2]
# 모든 범위를 포함하는 리스트 선언(모든 값은 0으로 초기화)
count = [0]*(max(array) + 1)
for i in range(len(array)):
count[array[i]] += 1 # 각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의 값 증가
for i in range(len(count)): # 리스트에 기록된 정렬 정보 확인
for j in range(count[i]):
print(i, end=' ') # 띄어쓰기를 구분으로 등장한 횟수만큼 인덱스 출력
# 001122345567899
문제. 두 배열의 원소 교체: 문제 조건
입력조건
- 첫 번째 줄에 N, K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입력됩니다. (1 <= N <= 100,000, 0 <=K<=N)
- 두 번째 줄에 배열 A의 원소들이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입력됩니다. 모든 원소는 10,000,000보다 작은 자연수입니다.
- 세 번째 줄에 배열 B의 원소들이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입력됩니다. 모든 원소는 10,000,000보다 작은 자연수입니다.
출력조건
- 최대 K번의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하여 만들 수 있는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댓값을 출력합니다.
- 핵심 아이디어: 매번 배열 A에서 가장 작은 원소를 골라서, 배열 B에서 가장 큰 원소와 교체
- 가장 먼저 배열 A와 B가 주어지면 A에 대하여 오름차순 정렬하고, B에 대해 내림차순 정렬
- 이후, 두 배열의 원소를 첫 번째 인덱스부터 차례로 확인하면서 A의 원소가 B의 원소보다 작을 때만 교체를 수행
n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 # N과 K를 입력 받기
a = list(map(int, input(),split())) # 배열 A의 모든 원소를 입력 받기
b = list(map(int, input(),split())) # 배열 B의 모든 원소를 입력 받기
a.sort() # 오름차순 정렬 수행
b.sort(rever=True) # 내림차순 정렬 수행
# 첫 번째 인덱스부터 확인하며, 두 배열의 원소를 최대 K번 비교
for i in range(k):
# A의 원소가 B의 원소보다 작은 경우
if a[i] < b[i]:
# 두 원소를 교체
a[i], b[i] = b[i], a[i]
else: # A의 원소가 B의 원소보다 크거나 같을 때, 반복문을 탈출
break
print(sum(a)) #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을 출력
반응형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_07.algorithm_dijkstra_다익스트라 (0) | 2022.01.12 |
---|---|
_06.algorithm_DFS_BFS (0) | 2022.01.11 |
_04.algorithm_binary_index_tree (0) | 2022.01.07 |
_03.algorithm_tree (0) | 2022.01.05 |
_02.algorithm_priorityQueue (0) | 2022.01.05 |
Comments